본문 바로가기
웹/JSP-Servlet

웹 어플리케이션-1.배경,정의

by 둥둥동동# 2021. 9. 26.
728x90

 

배경

 

 

 

 

클라이언트-서버 모델

 

클라이언트-서버모델은 서비스,자원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작업을 처리하는 서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

기존방식은 사용자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서버와 통신할 수 있었습니다

이러한 방식은 클라이언트 재배포, 여러 OS에 대응하기 등으로 큰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존재했습니다

 

 

 

HTTP기반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을 사용하면 별도의 클라이언트 배포없이 서비스가 가능하게 됩니다

사용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버는 이를 처리하여 응답합니다.

웹브라우저가 응답을 받게 되면 사용자에게 결과물을 출력해 줍니다

 

 

 

 

 

 

정적 웹페이지 - 웹서버

 

정적(static)은 고정적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

즉, HTML, CSS같이 항상 내용물에 변화가 없는 웹페이지를 말합니다

회사 소개 홈페이지, 댓글기능이 없는 블로그 등 굳이 매 번 내용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는 웹페이지일 경우

정적인 페이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

정적 페이지는 별다른 가공과정 없이 웹페이지가 직접 제공해 줍니다

 

 

 

동적 웹페이지 - 웹애플리케이션

 

요청받은 매개변수(요청시점, 사용자등)를 활용하여 웹페이지를 요청시점에 생성하는 웹페이지

매개변수에 따라 매 번 다른 내용을 제공합니다

유튜브,넷플릭스를 이용하면 각 사용자 성향에 맞는 영상물을 추천해 주는데 이 또한 동적웹페이지 입니다

동적인 웹페이지는 웹애플리케이션이 HTML로 가공하여 제공합니다 

 

 

 

웹어플리케이션 동작과정

 

 

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서 URI를 통해 웹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

이 요청은 미리 정의된 요청포맷으로 보내게 되는데 여기에 HTTP메소드(GET,POST,PUT, ...), HTTP버전, 브라우저 정보, host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

 

웹서버는 요청받은 내용을 분석하고 가지고있는 정적 페이지가 있는지 확인 한 뒤 해당 페이지가 없다면

웹컨테이너에게 동적페이지를 요청하게 됩니다

 

웹컨테이너는 웹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요청정보를 확인하고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적인 페이지를 생성,

이를 웹서버에 다시 전해줍니다

 

웹서버가 페이지(컨텐츠)를 전달받으면 응답으로만들어 요청한 브라우저로 전송합니다

 

웹브라우저는 전송받은 응답을 화면에 출력시켜 줍니다

 

 

 

 

웹 컨테이너?

 

웹 컨테이너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며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라고도 불립니다

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, 생명주기 등을 관리하며 대표적으로 톰캣 등이 있습니다

 

 

참고 자료

 

유응구 교수님의 JSP프로그래밍 강의(21-2)

728x90

댓글